국가탐방하기
커뮤니티
베트남의 결혼문화
1986년 베트남 정부는 도이모이를 도입해 산업과 상업과 농지를 개인소유 할 수 있게 된 이래로 2010년까지 년 7% 성장을 이루고 있고 외국인 투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세 번째 산유국이며 오픈마켓정책으로 중국의 두 배의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는 나라다.
극심한 가난, 하루 1달러로 생활하는 극빈자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고 지금은 중국, 인도, 필리핀보다 그 수가 적다. 도오모이 정책은 간난한 사람들에게 교육과 의료비를 지원한다.
골드만 삭스의 경제예측보고서에 의하면 베트남은 2025년까지 세계 17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본다. 이것은 영국 경제규모의 70%에 육박하는 수치다. 베트남은 캐슈넛 후추를 세계 시장에 30%를 수출하며, 쌀 수출은 태국에 이어 세계 2위 수출국이다. 이외에 커피, 차, 고무와 수산품을 세계에 수출한다. 2009년의 베트남의 실업률은 2.9%를 기록했다.
현대의 베트남 결혼은 풍습을 간직한 예전과 많이 다르다. 다른 것은 체면을 중시한 결혼비용과 결혼연령이다. 예전에는 남성이 20대 여성이 18세이면 적정연령으로 생각했다. 여성이 사회생활이 자유로워지고 직업적인 경력을 쌓는 동안 결혼은 미뤄졌다.
전통적인 중매결혼은 빛을 잃고 있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직도 중매결혼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서로 상대방이 잘 살 수 있는지 사주와 점을 보는 것은 젊은 층에서도 아직도 선호한다. 만일, 사주의 결과가 나쁘면 결혼을 하지 않기도 한다.
베트남의 첫 번째 결혼순서는 신랑부모들이 자신의 아들과 결혼할 여성이 부부로서 잘 살 수 있을지를 점쟁이한테 문의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만일 사주가 좋다면 여성이 결혼을 결정해야 하는 절차를 남겨두게 된다.
결혼신청은 신랑의 부모가 신부의 부모를 찾아가 청혼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때 신랑 부모는 베텔잎(betel leaves)이나 빈랑열매(areca nuts)를 준비하고 빨간 박스 안에 신부 결혼예물을 준비한다. 신부가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물어보지만 대부분 결혼식 절차에 필요한 지참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결혼은 진행된다.
대부분의 부모들 중매결혼에 대한 믿음가져
사주 좋다면 신랑부모가 신부부모에게 청혼
다음절차는 결혼인데 대부분 수개월 후로 미뤄지기도 합니다. 만일 배우자가 대학에 다니거나 외국에서 일을 한다면 더 늦춰진다. 베트남 사람들은 길일을 잡는데 민감하다. 결혼날짜를 잡는 것도 점쟁이한테 물어 길일을 선택한다.
결혼식을 할 때 신부는 붉은 아오자이를 입는다. 피로연을 하기 전에는 조상에게 예를 먼저 올린다. 약혼식은 신부가족들이 미래의 시집사람들을 만나는 장소가 되기도 한다.
결혼식전까지는 신랑 신부는 불운을 막기 위해 따로 지낸다. 결혼식 전날 밤에는 신부 어머니가 신부의 머리를 여러 개의 빚으로 빚어 준다. 빚마다 다 다른 의미가 있지만, 세 번째 빚은 신부는 새로운 집에서 행복한 결혼생활을 기원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결혼식 날 하객들은 신부의 집에 초청되고 신랑이 도착하기를 기다린다. 신부는 전통 결혼의복으로 갈아입는다. 결혼식 날의 예물은 베텔잎, 빈랑열매, 과일, 케이크, 전통술과 차를 준비한다. 신부를 위해서는 결혼반지와 금귀걸이를 준비한다. 빨간색은 베트남에서 전통적인 결혼예식에서 장미빛 결혼생활을 가져다주는 행운의 색깔로 여긴다.
신랑이 도착하며 빨간 아오자이를 입은 신부의 친구들이 신랑을 맞이한다. 신랑이 집으로 들어오면 신부의 부모에게 준비한 술을 조금 마시게 한다. 이 술을 마시면 신랑을 받아들인다는 의미가 된다. 몇 년 전에는 이때 불꽃을 터뜨리고 축하 했지만 많은 사고가 생겨 지금은 하지 않는다.
신랑의 가족들은 각자 인사하고 신부와 결혼을 허락해 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주례가 신부의 부모에게 신부입장을 요청한다. 그러면 신부는 결혼식장으로 들어온다. 전통적으로 신부는 빨간 아오자이를 입고 신랑은 검은 아오자이나 양복을 입는다.
결혼식은 전통적인 재단 앞에서 진행된다. 신랑과 신부는 결혼식전에 촛불에 불을 밝힌다. 그리고 재단 앞에 무릎을 꿇어 앉아 그들의 조상에게 결혼할 수 있는 허락을 구하고 새로운 신혼가족에 축복을 내려 주길 기원한다. 그리고 난후 신랑신부는 돌아서 신부의 부모에게 신부를 낳아 키워주신 것에 감사한다.
신랑신부는 서로에게 절하며 신혼부부로서 서로 감사하고 존경을 표한다. 이때 주례는 새로운 신혼부부가 새 가정을 만든 것에 대해 조언하며 결혼증명서에 서명을 하게 한다. 다음 양가의 부모가 자신들의 경험을 이야기 하고 축복을 빌어 준다. 그런 다음 결혼예물을 교환하고 부모들은 금팔찌와 귀걸이등과 같은 예물을 선물한다.
결혼 후 피로연에서는 점심이나 저녁을 준비 한다 신랑 신부 양가의 부모는 다시 한 번 인사하고 하객들에게 축배를 든다. 피로연 중 신랑신부는 각 테이블을 찾아가 인사하면 하객들은 봉투에 카드와 축하금을 넣어 준다. 피로연 후 신부는 신혼살림을 할 신랑의 집으로 향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